『광장의 역설 』

지난 겨울과 봄의 광장은 뜨거웠다. ‘내가 지닌 가장 빛나는 것’을 들고 나온 이들이 만들어낸 광경을, 사람들은 ‘빛의 혁명’이라고 불렀다. 노동자, 장애인, 성소수자, 여성, 빈민 등 한국 사회의 가장 낮은 곳에서 차별과 혐오를 일상적으로 겪는 소수자들도 광장에서만큼은 서로 연결돼 있음을 확인하고, 광장 이후의 새로운 세계를 함께 꿈꿨다.

새로운 대통령의 취임으로 ‘빛의 혁명’은 성공한 것일까? 정권교체를 넘어 ‘사회대개혁’을 이루자며 광장에서 외친 수많은 요구 중 얼마나 많은 것이 실현될까?

『광장의 역설』은 거대한 사회운동이 실제로 사회를 바꾸려면 무엇이 필요한지를 돌아봐야 하는 지금의 우리에게 필요한 책이다. 《워싱턴포스트》, 《타이낸셜타임스》 등에서 일하며 2010년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진 대규모 시위를 취재한 저자 빈센트 베빈스는 12개 나라에서 200명이 넘는 활동가, 시위 참여자, 정치인 등을 인터뷰하고 관련 문헌을 조사해 ‘겉보기에 별개인 세계적 사건들을 현재의 놀라운 역사로 엮어낸다.’ 그는 방대한 취재와 조사를 통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에서 벌어진 수많은 대규모 시위가 어떻게 해서 시위대의 요구와 정반대되는 결과를 초래했는가”라는 까다로운 질문에 설득력 있는 답을 제시한다.

info 전체 게시물: 13건
2/2 페이지

역사에서 기억으로

account_circle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CGS (임지현, 정 면, 김정한 외) schedule 2022-08-15
기억되지 못한 기억과 이름을 어떻게 불러낼 것인가? 과거와 국가를 넘어, 기억의 연대와 책임을 생각한다.

세월호 우리가 묻지 못한 것-재난 조사 실패의 기록

account_circle 박상은 schedule 2022-07-05
저자는 질문의 방향을 전환하자고 제안한다. '누가 잘못했는가' 가 아니라 어떻게 , ‘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 로’ , 질문을 바꾼다면 우리 앞엔 보다 넓은 시야가 펼쳐진다. 2014년 4월 16일 배가 침몰한 그 날의 문제만이 아니라 작은 잘못과 부주의를 쌓아가며 재난을 만들어온 수많은 사람들의 책임과 시간이 세월호의 진실에 한 발 더 다가가게 할 것이다.

옥중 19년

account_circle 서승 schedule 2018-04-03
1971년부터 1990년까지 격동의 한국사 한복판을 관통해온 옥중 기록. 야만적인 국가폭력에 대항해 인간의 존엄을 지켜온 이들의 처절하고 위대한 분투기 한국 인권사에 남을 기록 ‘감옥 속의 감옥’인 정치범 특별사동의 냉혹한 어둠 속에서 비전향 장기수로 수십 년을 갇혀 살았던 사람들, 혹은 사망자로, 혹은 생존자로, 그리고 혹은 여전히 비전향수로 남아 있는 그들, 일평생 온몸으로 분단의 고통을 겪어 왔음에도 남과 북에서 존재조…

안데스를 걷다

account_circle 조용환 schedule 2017-12-04
안데스의 숭고한 자연과 역사에 보내는 헌사. 남미에 대한 오래된 관심과 애정이 단단한 인문 에세이로! 또 다른 젊은이들의 세계여행을 응원하며. 여기 오랫동안 남아메리카를 동경해온 한 사람이 있다. 어린 시절 김찬삼의 <세계여행>을 접하고 바깥세상을 직접 경험하고 싶었던 그는 마침내 두 달 동안 남미 여행을 떠날 기회를 얻는다. 대륙 하나를 단 두 달 만에 돌아본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남미의 핵심…

세월호 그날의 기록

account_circle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 schedule 2016-03-10
2014년 4월 16일, 그날,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나? 그날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과 기록을 통해 생생하게 재현 <세월호, 그날의 기록>은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이 10개월 동안 방대한 기록과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2014년 4월 15일 저녁 세월호가 인천항을 출항한 순간부터 4월 16일 오전 8시 49분 급격히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해 10시 30분 침몰할 때까지 101분 동안 세월호 …

원고 투고

원고의 형태, 내용에 어떤 제한도 없습니다. 엄연히 존재하지만 그동안 말해지지 않은 사람과 사건에 관한 이야기라면 무엇이든 가능합니다.

이메일로 간단한 개요, 취지, 연락처 등을 보내주세요. 검토 후 2~3주 내로 연락드리겠습니다.

mail truth@truthfoundation.or.kr

검색하기

찾으시는 내용이 있나요?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